대학의 미래 비전과 한국 고등교육의 현주소
가. 발표자 : 이용구 총장 (중앙대학교)
나. 일 시 : 2015년 3월 25일(수)
다. 장 소 :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국화실
라. 발표 내용
1) 글로벌 메가트랜드 및 미래대학 ? 고등교육 관련 미래사회의 Keyword는 Convergence, Globalization, Open & Lifelong임. 이를 위하여 대학교육은 융복합형 창의인재 양성과 글로벌인재 육성, 그리고 강의의 오픈 소스화와 평생교육 체계를 갖추어야 함. 또한 미래대학 모습은 Liberal Arts College 기반의 인문학 교양교육을 바탕으로 전문영역을 교육하는 시스템이 바람직함. 세계 명문대학들이 다국적 캠퍼스를 확장하고 있으며, MOOC 강의의 급속한 확장이 예상됨. 대학은 가르치고 배우는 조직에서 학습공동체로, 교수중심에서 학생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음. 또한 강의실에서 온라인과 강의실 교육이 결합하는 형식으로 발전할 것임. 또한 학생들이 대학과 수업 컨텐츠 등을 직접 선택하는 시대가 도래할 것임
2) 한국 고등교육의 현주소 ? IMD 세계 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고등교육 이수자는 2위이고, 국가 경쟁력은 26위이나 고등교육의 경쟁력은 53위로 최하위 수준이다. 또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에 있어서도 부족한 면이 있음. 우리나라 고등 교육의 과제는 출생률 및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교육 수요자 구조 변화, 학과 이기주의에 의한 학사 구조 유연성 미흡, Globalization 미흡, 사회 및 정부 정책 압박 등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음
3) 정부 제안 사항 ? 사립대학과 국공립대학의 역할 재정립, 사립대학 수익사업 활성화 지원책 마련, 대학평가시스템 개선 등이 필요
* 발표자료 전문은 아래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